나와 우리의 연결고리

1인 가구의 비율이 40%에 육박한다 하더라도, 사람은 누군가와 직간접적으로 관계를 맺고 살아갑니다. 그 관계는 아주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거리와 밀도도 천차만별입니다. 최근에는 1.5가구라는 키워드도 심심치 않게 등장합니다. 완벽한 타인끼리 만나 ‘우리’가 되는 연결고리는 어디에서 비롯될까요? 그것이 일상과 가치관을 공유하는 관계가 되기 위한 조건은 무엇일까요? 그런 삶을 담는 집, 건축은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요? ‘조립식 가족’으로 함께 살아가고 있는 김하나, 황선우 작가의 이야기를 들어봅니다.
 

토크 주제

결혼하지 않은 40대 여성 두 사람이 함께 아파트를 구입하고 고양이 4마리를 공동 양육하며 조립식 가족이 된 이야기를 들려줍니다. 혼인 또는 혈연 관계를 전제로 한 전통적 가족 개념에 바탕한 법과 제도는 느리게 바뀌지만, 사람들은 이미 다양한 가족 형태를 만들어 살아가기 시작했습니다. 건축은 이러한 변화를 어떻게 담아낼 수 있을까요?


정림학생건축상 나와 우리의 연결고리

  • 행사 유형: 유료, 온∙오프라인
  • 행사 일시: 2025년 11월 4일 오후 7:30
  • 신청 시작: 2025년 10월 14일 오전 8:00
  • 신청 종료: 2025년 11월 3일 오후 12:00
  • 오프라인 정원: 24명 / 대기 정원: 12명
  • 온라인 정원: 80명

프로그램 개요

  • 장소: 정림건축문화재단(종로구 통의동)
  • 약도(카카오맵): http://dmaps.kr/b2ts4 
  • 약도(네이버맵): https://naver.me/Gsjbg5yu
  • 패널: 김하나, 황선우
  • 구성: 대화(60분+), 질의응답(30분+)
  • 참가비(온오프라인 동일): (일반) 12,000원, (학생) 5,000원
  • 문의: sun@junglim.org

 

우리 삶의 모양: 정림학생건축상 2026 연계포럼

정림학생건축상 2026은 ‘우리 어떡해?’를 주제로 '나는 어떤 삶을 살고 싶은가?'를 스스로 묻고 상상하여 '누구와 어떤 모양으로 함께 살고 싶은가?'로 나아가는 과정을 건축적으로 풀어내 보고자 합니다. 이 모든 작업의 출발점은 다양한 ‘나’와 ‘우리’의 삶을 자각하는 것입니다. 그것을 물리적인 실체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까요?
 

  • 11월 4일(화) 나와 우리의 연결고리
  • 11월 6일(목) 우리를 지속하는 힘
  • 11월 11일(화) 우리가 읽은 도시

참가신청

2025년 10월 14일 오전 8:00 부터 참가신청이 시작됩니다.

참가비 입금 안내

  • 입금계좌: 하나은행 162-910014-62604
  • 명단 정상 등록 여부를 먼저 확인해주세요.
  • 신청 후 4시간 내 입금해주세요.
  • 입금자명 뒤에 포럼일을 적어주세요. (예: 홍길동 11월 4일)
  • 이후 신청 추이에 따라 신청이 취소됩니다.
  • 입금순이 아닌 명단 순서로 등록이 진행됩니다.
  • 입금 확인 후 등록이 완료됩니다.
  • 대기자분은 입금 말고 개별 안내를 기다려주세요.

 

취소 안내

  • 신청 취소는 X표 누르고 비밀번호 입력하시면 됩니다.
  • 등록 취소 시에는 별도의 취소·환불신청서를 보내드립니다.
  • 등록 취소는 신청 종료 시점까지 가능하며, 이후 취소·환불이 어렵습니다.

 

발표자 소개

김하나

읽고 쓰고 듣고 말하는 사람. 황선우와 함께 팟캐스트 여둘톡(여자 둘이 토크하고 있습니다)을 제작, 진행하며 ‘좋은 걸 좋다고 말하기’를 모토로 대화를 세상에 발신합니다. 여둘톡은 현재 전 세계 177개국에서 청취하는 방송입니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하와이 딜리버리』, 『금빛 종소리』, 『말하기를 말하기』 등의 책을 썼습니다.

 

황선우

작가, 팟캐스터, 인터뷰어. 패션 매거진에서 20년간 에디터로 일했으며 퇴사 후에는 자유롭게 일하고 배우며 글쓰는 생활에 몰입 중입니다. 김하나와 함께 팟캐스트 여둘톡을 제작, 진행하고 있습니다. 『여자 둘이 살고 있습니다』, 『하와이 딜리버리』, 『아무튼, 리코더』, 『최선을 다하면 죽는다』 등의 책을 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