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주택 유전자

※ 더 많은 분들을 모시고자 줌과 유튜브 라이브 스트리밍(정림건축문화재단 유튜브 채널)을 병행할 예정입니다.

 

※ 줌 참가용 자리는 취소 등으로 나오는 자리를 순서대로 안내해드립니다. (청중 참여는 줌 참석자만 할 수 있습니다.)

 

※ 유튜브 라이브 일정 알림을 받고 싶으신 분은 아래에 참가신청해주세요. 일정을 놓치지 않도록 당일 안내 메일 보내드립니다.

 

『한국주택 유전자』는 한 세기를 횡단하며 한국주택의 유전적 형질과 그 변화 과정을 추적한 책입니다. 일제 강점기 관사에서부터 지금 한국의 모든 상황이 얽혀 있는 대단지 아파트에 이르기까지, 한국에 지어졌던 거의 모든 주택을 대상으로 합니다. 식민지와 한국전쟁, 경제개발계획을 연이어 거치며 다급히 대량의 주택을 지어온 역사 속에서 ‘보통사람들의 집’에 주목합니다. 따라서 이 책은 그동안 한국 현대 건축사의 공백을 메우는 중요한 시도이자, 최초로 공개되는 공식 문서, 건축 도면, 사진 자료를 다수 수록한 작은 아카이브입니다.

 

박철수는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에서 학생들과 더불어 ‘주거론’과 ‘주거문화사’를 중심으로 공부하고 있습니다. 『한국 공동주택계획의 역사』(공저, 세진사, 1999), 『아파트의 문화사』(살림, 2006), 『아파트와 바꾼 집』(공저, 동녘, 2011), 『아파트: 공적 냉소와 사적 정열이 지배하는 사회』(마티, 2013), 『건축가가 지은 집 108』(공동기획, 도서출판 집, 2014), 『근현대 서울의 집』(서울책방, 2017), 『박철수의 거주 박물지』(도서출판 집, 2017), 『한국 의식주 생활 사전: 주생활 ①, ②』(공저, 국립민속박물관, 2020), 『경성의 아파트』(공저, 도서출판 집, 2021) 등의 책을 펴냈습니다.

 

한국주택 유전자

20세기 한국인은 어떤 집을 짓고 살았을까?
아파트는 어떻게 절대 우세종이 되었을까?

 


원맨원북 원맨원북 2022 - 한국주택 유전자

  • 행사 유형: 무료, 온라인
  • 행사 일시: 2022년 3월 8일 오후 7:30
  • 신청 시작: 2022년 1월 20일 오후 12:00
  • 신청 종료: 2022년 3월 8일 오후 7:30
  • 온라인 정원: 200명 / 대기 정원: 100명

한국주택 유전자

1권

 

『한국주택 유전자』는 일제 강점기 관사에서부터 지금 한국의 모든 상황이 얽혀 있는 대단지 아파트에 이르기까지, 한국에 지어졌던 거의 모든 주택을 1권 708쪽, 2권 654쪽, 도판 1150컷의 방대한 분량으로 샅샅이 살핀다.

 

1권은 일제식민지 시기 지어진 ‘관사와 사택’, ‘부영주택’, ‘문화주택’, ‘아파-트’, ‘도시한옥’에서 시작해, 해방과 한국전쟁 혼란기에 각종 원조와 국채로 시급히 지어야 했던 ‘영단주택’, ‘DH주택’, ‘전재민·난민 주택’, ‘UNKRA주택·ICA주택·AID주택’, ‘재건주택과 희망주택’, ‘부흥주택’을 비롯해 외화벌이의 일환이었던 ‘외인주택’, 도시의 얼굴이고자 했던 ‘상가주택’을 아우른다. 대략 1920년대에서 1950년대 말에 해당하는 시기를 다룬다.

 

  • 1. 관사와 사택 1920
    경성 전체의 10분의 6이 관사지대 / 관사와 사택, 그리고 조선인 형편 / 위계에 의한 계열화와 표준화 / 관사와 사택의 집단화 / 대용관사와 공사 / 오래도록 이어진 관사와 사택의 기억
  • 2. 부영주택 1921
    부제 시행과 면 폐합 / ‘주택구제회’의 교북동 간편주택 / 『경성 도시계획 자료 조사서』를 통해 본 경성부 부영주택 / 공동장옥 거주 조선인의 실상과 세궁민 / 부영주택과 읍영주택 / 부영주택이 건축사에 남긴 흔적
  • 3. 문화주택 1930
    짓느니 문화주택이요, 건축되느니 새집 / 문화주택의 시대 풍경 / 문화주택의 전파와 대중적 수용 / 경성의 토막민과 문화주택 / 문화촌과 문화아파트 / ‘문화’의 다양한 얼굴 /
  • 4. ‘아파-트’ 1930
    1920년대 일본에서의 아파트 논의와 진단 / 1930년대 조선의 아파트 수용 / 풍기문란의 대명사 / 부영아파트 등장
  • 5. 도시한옥 1935
    정세권의 건양사와 도시한옥 / 1930년대 부동산 가격 폭등 / 「삼화원 주택지 분양도」로 본 실제 상황 / 도시한옥의 정체성과 유전형질
  • 6. 영단주택 1941
    조선주택영단의 탄생 / 영단주택=기설주택⊆공영주택 / 조선주택영단의 표준설계 / 영단주택지의 공간구조 / 일제강점기 영단주택의 의미 / 대한주택공사 설립 이전의 영단주택
  • 7. DH주택 1945
    미군의 점령과 그 가족들의 이주 / 미군기지 안팎의 DH주택 추적 / DH주택의 이해
  • 8. 전재민·난민 주택 1946
    제1의 아파트 채운장아파트 / 신당동 경성 문화촌 명도 명령과 전재민 / 유곽, 요릿집, 여관을 이용한 전재민 대책 / 해방 후 전재민주택과 한국전쟁 후 난민주택 / 전쟁고아를 위한 고아원 / 미아리 난민정착촌 / 1960년대 들어 바뀐 재민주택의 의미 / 1970년대 재민아파트
  • 9. UNKRA주택, ICA주택 그리고 AID주택 1953
    긴급 구호의 성격이 강했던 UNKRA주택 / 원조 자금을 융자받아 지은 ICA주택 / 상업차관으로 지은 힐탑아파트 / 미국 국제개발국의 자금으로 지은 AID아파트
  • 10. 재건주택과 희망주택 1953~1954
    전후 사정이 고스란히 담긴 이름 재건주택과 후생주택 / 재건주택관리조례 / 9평의 꿈, 재건주택 / ‘재건’의 ‘재건’ / 서울에 집중 공급된 희망주택 / 12평형과 20평형의 희망주택?
  • 11. 부흥주택 1957
    ‘재건’과 ‘희망’ 다음엔 ‘부흥’ / 주택건설5개년계획 속 부흥주택의 모습 / 부흥주택의 면면들 / 대한주택영단이 인수한 부흥주택 / 부흥주택 청원 사태
  • 12. 외인주택 1957
    이태원과 한남동의 외인주택 / 부산의 외인주택 / 외인주택과 내국인용 주택의 절대 편차 / 1970년까지의 외인주택 / 호텔형 수입 아파트 힐탑외인아파트 / 야외수영장이 설치된 한강외인아파트 / 대통령 지시 1호 남산외인아파트 / 주한 미군 전용주택
  • 13. 상가주택 1958
    서울의 풍경을 바꾼 사람들 / 공병단과 시범상가주택 건설 / 상가주택 건설구역과 건설 요강 /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상가주택 / 귀중한 자료, 「#3 시범상가주택 인계서」 / 서울형 건축에서 초고층 주상복합아파트로 / 사라지는 상가주택

 

2권

 

2권은 단지 아파트의 출발을 알리는 ‘종암아파트와 개명아파트’, 보통 사람들의 꿈이었던 ‘국민주택’을 거쳐, 한국 주거사의 분수령이 된 ‘마포아파트’, 여러 방식으로 모색된 공공 공급 주택들인 ‘공영주택·민영주택·시영주택’ ‘시험주택’, ‘서민아파트’, ‘시민아파트’, 도심 재개발의 단초가 된 ‘상가아파트’ 도시와 농촌의 쌍생아였던 ‘새마을주택과 불란서주택’, 아파트의 고급화와 계층화를 이끌며 브랜드 아파트를 예견한 ‘맨션아파트’, ‘잠실주공아파트단지’를 다룬다. 여기에 ‘다세대주택과 다가구주택, 빌라와 맨션’을 더하며, 1960년 전후에서 최근에 이르는 한국인의 집을 모두 포섭한다.

 

  • 1. 종암아파트 · 개명아파트 1958 · 1959
    단지아파트의 맹아 종암아파트 / 단순 핵가족을 위한 개명아파트 / 또 하나의 충정아파트 / 중앙산업과 1950년대 후반의 아파트
  • 2. 국민주택 1959
    평화촌이라 불린 불광동 국민주택지 / 속속 준공된 서울 외곽의 국민주택 / 단독형 국민주택의 유형 / 2층 연립형 국민주택의 특징 / 보통의 집, 국민주택
  • 3. 마포아파트 1962 · 1964
    마포아파트의 이데올로기 / 최초의 계획 / 아파트 신화의 탄생 / 10층에서 6층으로 최초 설계와 변경 / 주거동 유형 一자형, T자형, Y자형 / 1962년 1차 준공 / 단지 탄생과 서구식 생활방식 / 동일 주거동 반복 배치의 시작점 / 마포아파트의 수용과 확산
  • 4. 공영주택 · 민영주택 · 시영주택 1963
    「공영주택법」 제정과 서울시 행정구역 확대 / 두 가지 민영주택 / 개봉지구 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의 민영주택 / 필지마다 다른 설계 수유리 민영주택 / 산업은행 표준설계 민영주택과 건축가의 참여
  • 5. 시험주택 1963
    ’63 시험주택 건설사업 / 수유리 시험주택 A~F형과 연립주택 / 모니터링과 평가 / 시험주택에서 조립식주택으로 / 주택문제연구소와 조립식주택
  • 6. 서민아파트 1964~1970
    주택공사의 도화동아파트와 서울시의 창신동아파트 / 입주 경쟁 심했던 정동아파트 / 9평이 채 안 되는 ‘소형’ 이화동아파트 / 작지만 어린이놀이터가 있던 홍제동아파트 / 도시에서 물러나 배치된 동대문아파트 / 단독주택을 향한 경유지로서의 돈암동아파트 / 표준 12평형을 채택한 연희동아파트 / 대단위 단지 개발의 교두보 정릉아파트와 문화촌아파트 / 넓은 발코니, 인왕아파트 전국을 대상으로 한 표준설계 확산의 기폭제 공무원아파트 / 1960년대의 아파트와 대한주택공사의 예측
  • 7. 상가아파트 1967
    상가아파트의 등장 배경과 원론적 의미 / 1967~1970년 서울의 주요 상가아파트 / 세운상가의 기본설계 확정 및 건설사업자 선정 / 상가아파트의 전형
  • 8. 시민아파트 1969
    시민아파트의 출현과 정치적 배경 / 범정부 사업 69 시민아파트 건립사업 / 시민아파트 동장(조합장)과 보안관의 임무 / 와우아파트 붕괴사고와 중산층아파트 / 시책형 아파트, 서울 시민아파트를 향한 위로
  • 9. 맨션아파트 1970
    한강맨션아파트의 아이러니 / 매립지에 세워진 한강맨션아파트 계획의 언저리 / 한강맨션아파트 분양 / ‘맨션아파트’ 비난과 유혹 사이 / 위로 겹쳐 64평, 옆으로 늘려 60평 / 강남시대의 서막과 아케이드 등장 / ‘맨션!’에서 ‘대규모 브랜드 아파트단지!’로
  • 10. 새마을주택 · 불란서주택 1972 · 1976
    새마을운동과 농촌주택 표준설계 / 불란서주택으로 불렸던 도시 양옥 / 왜 불란서식이며, 미니 2층인가? / 마음속에 그린 집 
  • 11. 잠실주공아파트단지 1975~1978
    도시 스케일과 근린주구 / 블록별 주거동 배치 방식 / 상가복합형 주거동과 저층형 주거동 단위세대 / 선도형 시범아파트, 잠실주공아파트5단지 / 옥외수영장과 총안, 그리고 곤돌라 / 잠실주공아파트단지 재론
  • 12. 다세대주택과 다가구주택 그리고 빌라와 맨션 1985 · 1990
    노태우 정권의 주택 200만 호 건설계획 / 다세대주택의 탄생과 다가구주택의 등장 / 표준형 다세대주택 인정과 그 변화 / 다세대주택 및 다가구주택과의 차별화 빌라와 맨션 / 소필지의 새로운 가능성

참가신청 안내

  • 일시: 2022년 3월 8일(화) 저녁 7:30-9:00
  • 형식: 온라인(줌) 라이브 토크, 유튜브 라이브 스트리밍 @정림건축문화재단
  • 모집인원: 80명+
  • 참가비: 무료
  • 문의: sun@junglim.org
  • 주최: 마티, 정림건축문화재단
  • 본 프로그램은 무료입니다.
  • 입력하신 이메일 주소로 접속 링크를 보내드립니다.
  • 아래 신청란을 통해 선착순 등록받습니다.
  • 신청 취소는 당일 낮 12시까지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취소 신청: sun@junglim.org (간략한 메일로 가능.)
  • 사전 연락 없이 불참시, 이후 프로그램에 후순위 배정됩니다.